전체 글 (113) 썸네일형 리스트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NoSQL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테이블은 열/행 형태로 구성된다. 데이터는 엄격한 스키마 구조를 따르며, 서로 다른 테이블 간에는 관계를 통해 연결된다. 장점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며, 복잡한 쿼리와 트랜잭션 처리에 강점을 가진다. NoSQL 데이터베이스 - 유연한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저장할 수있다. 이는 대규모 분산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며, 스키마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빠르게 변화하는 데이터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MongoDB가 예이며, 특장점은 확장성이 뛰어나고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효과적이며, 구조가 유연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상메모리와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가상메모리 : 컴퓨터가 실제 메모리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가진 것처럼 작동하게 해주는 기술이다. 컴퓨터에는 물리적인 메모리(RAM)가 제한되어 있지만,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면 컴퓨터는 하드 드라이브의 일부 공간을 마치 추가적인 RAM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때 각 프로그램이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컴퓨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다보면, 실제 메모리 공간이 부족해 질 수 있다. 이때 컴퓨터는 어떤 부분을 메모리에서 잠시 제거하고, 다른 부분을 메모리에 넣어야 하는데 이를 페이지 교체라고 한다. 컴퓨터는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이러한 교체를 결정하는데, 가장 오래 전에 사용한 메모리를 제거하는 방식, 최근에 사용되..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점 프로세스와 스레드 모두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1. 프로세스 -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로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가진다. 각 프로세스는 자체 주소 공간을 가지며, 다른 프로세스와는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더 많은 시스템 자원이 필요하다. 2. 스레드 - 프로세스 내의 실행 단위이며,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공유한다. 코드/데이터/힙 영역은 공유하지만 다른 스택 영역을 가지며, 이를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프로세스 내 데이터 공유가 쉽다. 결론적으로 프로세스는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진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며, 스레드는 메모리를 공유하고 더 가볍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멀티 태스킹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OSI 7 Layer와 TCP/UDP 차이점 OSI 7 Layer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계층별로 나눈 모델을 말한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실제 전기적 신호로 데이터 전송 (이더넷, USB)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네트워크 장비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IEEE 802.11, PPP)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과 주소 지정을 관리한다. (IP, ICMP)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한다. (TCP, UDP)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통신 세션을 설정, 관리,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Netbios 등) 6. 표현 계층 (Pres.. DDoS(분산 서비스 거부)와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 DDoS 공격은 다수의 시스템이 인터넷 서비스나 서버에 대량의 트래픽을 보내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을 말한다. 목적은 서버의 리소스를 과부하 상태로 만들어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을 방해하는 것이며, 이러한 공격은 비즈니스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AWS를 통한 DDoS 대응 AWS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DDoS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1. AWS Shied :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며 Advanced 사용자에게는 추가적인 보호 및 서비스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2. Amazon CloudFront와 Route53 : 이들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이는 DDoS 공격을 무력화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SSL/TLS, 암호화 복호화 이해하기 SSL과 TLS는 인터넷상에서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들은 주로 웹 브라우저와 서버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SSL은 이전 버전이며 TLS는 보다 최신 버전으로 두 단어의 의미는 통용되어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SSL/TLS 작동 방식 1. 연결 설정 :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연결을 시도하며, SSL/TLS 연결이 시작된다. 2. 서버 인증 : 서버는 자신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해 디지털 인증서를 제공한다. 이 인증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에서 발급되며, HTTPS 접속에 사용되는 공인인증서를 말한다. 3. 키 교환 :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에 공개 키 및 비공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 키가 안전하게 교환된다. 여기서의 키는 암호화된 .. CDN이란? CDN은 Content Delivery Network의 약자로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웹 콘텐츠에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한 사용자가 미국에 위치한 웹사이트에 접속하려 할때, CDN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로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웹 사이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AWS도 CloudFront라는 CDN 서비스를 제공하여 글로벌 컨텐츠 전송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며, MS도 Azure CDN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가까운 서버에서 컨텐츠를 불로오도록 하여 .. Powershell 로 AD계정의 비밀번호 초기화 일자 추출하기 아래의 명령어를 활용하면, 대상 계정 리스트의 계정명과 함께 비밀번호 초기화 일자를 CSV 파일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SamAccountNames = @( "A","B" ) $CSVFile = "C:\pwdlastset.csv" foreach ($SamAccountName in $SamAccountNames) { $User = Get-ADUser -Filter { SamAccountName -eq $SamAccountName } -Properties PasswordLastSet $PasswordReset = $User.PasswordLastSet $Data = "$SamAccountName,$PasswordReset" $Data | Out-File $CSVFile -Append -Encoding U..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